선암호수노인복지관

선암호수노인복지관
로그인 회원가입
  • 소통공간 및 자료실
  • 자유게시판
  • 소통공간 및 자료실

    자유게시판

    GMO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동휘 (211.♡.105.39) 댓글 0건 조회Hit 1,006회 작성일Date 24-01-16 01:25

    본문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유전자 변형 생물
    - 생물학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외부에서 유전자를 도입하거나 제거하여 유전자를 변형시킨 생물체.

    GMO는 식량 생산성 향상, 환경 오염 감소, 질병 예방 등의 장점을 부각시켜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지만 GMO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만만치 않다.

    GMO 식품은 유전자 변형 과정에서 새로운 단백질이 생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단백질이 인체에 독성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더 큰 위험은 GMO 식품의 영양 성분이 기존 식품과 다르거나, 기존 식품보다 더 많은 농약이나 제초제를 사용해야 생산될 수 있다는데 있다.​

    GMO 작물이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GMO 작물은 기존 작물과 달리 다른 종의 생물과 교배하거나, 유전자 변형 과정에서 생성된 새로운 단백질이 다른 종의 생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GMO 작물의 대량 재배로 인한 생물 다양성 감소, 농약 사용 증가 등의 환경 문제가 있다.

    GMO의 득과 실, 폐해는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결론이 내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GMO의 안전성을 충분히 검증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분별하게 도입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하는데 ...
     ----
    한국은 GMO 수입 세계 1위 국가다. 2022년 기준으로 한국의 GMO 수입 규모는 228만 톤으로, 전 세계 GMO 수입량의 약 14%이다.

    GMO 수입품목은 크게 옥수수, 대두, 콩, 면화, 해바라기 순이다. 2022년 기준으로 옥수수는 126만 톤, 대두는 102만 톤, 콩은 26만 톤, 면화는 10만 톤, 해바라기는 4만 톤이 수입되었다.

    GMO 가공식품 수입 규모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22년 8월까지 GMO 가공식품 수입액은 약 3억 186만 달러(약 4,060억 원)로, 2018년 수입액인 약 2억 5,386 달러(약 341억 원) 대비 약 118.9% 증가했다.
    ----
    대표적인 GMO 식용유로는  대두유, 카놀라유, 옥수수유, 면실유(참치 통조림이나 샐러드 드레싱 등에 사용), 해바라기씨유 가 있고,
    들기름, 올리브유 등도 GMO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해당 식물은 아직 GMO로 재배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기는 하다.

    GMO 식용유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GMO 식용유가 기존 식용유와 동일한 안전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전문가들은 GMO 식용유가 인체나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한다.

    GMO 식물로 식용유를 제조할 때, GMO 원료의 함량이 3% 미만이거나, 최종제품에 GMO 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표기 의무가 없다. 또한, 간장, 식용유, 전분당 등은 시험검사를 통해 GMO 성분을 검출하기 어려운 식품으로 분류되어 있어서 표기 의무가 없다.​

    여기서 잠깐,  3%미만의 GMO성분이 들었거나 최종제품에 GMO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해도 있는 그대로 “이 제품에는 3%의 GMO성분이 들어 있다고 표기해도 될 것을 궂이 GMO표기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방침을 세워 수많은 먹을 거리에 GMO성분이 들어 있음에도 이를 모르고 먹는 일이 많다는 것에 논란이 있다.

    GMO가 전혀 해롭지 않으며 떳떳한 것이라면 왜 3% 정도만 함유해서 유통할까,  사실 그대로 소상히 밝혀  소비자가 선택하는데 어렵지 않게 해야하지 않을까
    ----
    GMO의 실제 피해사례는 크게 식품 안전성, 생태계 파괴, 농업 구조 변화, 윤리적 문제 등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식품 안전성 측면에서, GMO 식품의 섭취로 인한 알레르기, 암, 유전적 변이 등의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알레르기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09년부터 GMO 식품에 대한 알레르기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는 GMO 식품의 섭취로 인해 알레르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암

    2000년, 프랑스 국립보건환경연구소(INSERM)는 GMO 식품의 섭취와 암 발생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 GMO 식품을 섭취한 실험 동물에서 종양 발생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유전적 변이

    2008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GMO 식품의 섭취와 유전적 변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  GMO 식품을 섭취한 실험 동물에서 유전적 변이의 빈도가 증가함.
     
    *생태계 파괴 측면에서, GMO 농작물이 자연계에 유입될 경우 기존의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해충 저항성 유전자의 확산

    GMO 농작물은 해충 저항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해충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충 저항성 유전자가 자연계에 유입될 경우, 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생긴 돌연변이 해충이 출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충 피해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
    인체에 해롭다는 연구결과가 적다는 이유로, 뚜렷하게 해롭다고 증명되지 않았다해서, 안전하다 주장할 일이 아니다

    대통령의 밥상이나 장관, 재벌회장의 요리에는  GMO가 쓰이지 않고 있을거란 추측이 틀렸기를...

    ​DDT가 한때는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다고 머릿니와 이를 퇴치 한다며 머리와 온 몸에 들이붓던 때가 있었다는 사실을 잊지말자

    ... 진실이 왜곡되지 않는 사회가 좋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페이스북 연결하기
    카카오채널 연결하기
    선암호수노인복지관 어플리케이션